케멕스(Chemex)
오늘은 깔끔한 커피를 추출할 수 있는 간편한 드립기구인 케멕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글 설명에 앞서 처음 핸드드립에 입문하실 분들은 핸드드립에 필요한 기구들을 정리해 놓은 글을 보시면 도움이 됩니다.
Hand Drip - 핸드 드립 입문 하기 (준비물)
핸드 드립이란?사전적 의미로 '볶은 후 커피를 갈거나 빻아서 손으로 직접 물을 부으면서 걸러 냄'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쉽게 말해 머신을 사용해서 에스프레소를 추출하는 것이 아닌 손으
barista-all.tistory.com
케멕스(Chemex)의 역사
케멕스(Chemex) 드리퍼는 1941년 피터 쉴럼봄(Peter Schlumbohm)이라는 독일 출신의 화학자에 의해 발명되었습니다. 그의 과학적 배경이 케멕스의 디자인과 기능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케멕스(Chemex) 드리퍼의 원리
케멕스 드리퍼는 중력과 진공 추출원리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케멕스 드리퍼는 케멕스 전용 필터를 사용하는데 필터가 두꺼운 재질이라서 물과 커피가 더욱 오래 접촉하게 만들어 줍니다. 이를 통해 물은 천천히 커피를 통과하면서 커피의 향미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있게 도와주며 두꺼운 재질의 종이 필터가 기름성분을 충분히 걸러주어 클린컵이 좋아지고 향미가 풍부한 커피가 추출됩니다.
케멕스(Chemex) 드리퍼의 장점
1. 풍부한 향미와 클린컵 : 케멕스의 특별한 필터는 일반적인 드립 커피 필터보다 더 두껍기 때문에 물이 천천히 통과하게 만들어주어 향미가 더욱 잘 추출됩니다. 또한 필터가 더 많은 오일성분을 잡아내어 커피가 깔끔하게 완성됩니다.
2. 디자인 : 케멕스의 유리 디자인은 심플하면서도 우아한 디자인으로 인테리어로 소품으로도 사용이 됩니다. 디자인과 기능성을 인정받아 뉴욕 현대미술관에 영구 소장품 중 하나로 전시되어 있고 스미소니언 박물관에도 전시되어 있습니다.
3. 다양한 사이즈 : 케멕스는 여러 사이즈의 상품들이 있어, 단독으로 커피를 만들어 마시거나 여러사람이 함께 마실 수 있는 커피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4. 일정한 추출 : 공기가 통하게 해주는 리브가 하나밖에 없고 필터가 두껍기 때문에 다양한 추출 기술을 사용할수 없어 푸어오버 방식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추출의 편차가 적어 일정한 추출이 가능합니다.
5. 저렴한 가격 : 케멕스는 유지보수가 간단합니다. 저렴한 드리퍼의 가격과 필요한 부품이 필터뿐이기 때문에 종이필터를 제외한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케멕스(Chemex) 드리퍼의 한계점
1. 추출속도 : 다양한 추출방법을 사용하는데 제한이 있습니다. 느린 추출 속도로 인해 추출의 변수가 적어 원두의 분쇄도와 사용되는 원두, 물의 양으로 추출시간을 조절해야 해서 추출 기술을 사용하려면 많은 이해도를 필요로 합니다.
2. 파손위험 : 케멕스 드리퍼는 유리 재질로 되어있기 때문에 깨질 위험이 높습니다. 특히 세척하면서 깨지는 일이 많이 발생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바리스타가 바라보는 케멕스(Chemex) 드리퍼
케멕스 드리퍼의 장단점은 위에 설명한 내용대로 뚜렷하게 존재합니다. 케멕스 드리퍼를 사용하면서 가장큰 이점을 뽑는다면 두꺼운 필터로 인한 장점입니다. 공기가 통하는 통로를 만들어주는 리브가 하나이기 때문에 느린 추출속도를 가지지만 오일리한 성분들은 많이 걸러주어 클린컵이 좋아진다는 점입니다. 이러한 점은 커피를 너무 연하게 만들기도 하지만 잘 활용한다면 향미가 너무 강한 무산소 프로세스 같은 커피들을 추출할 때 맛은 연하면서 향미가 풍부한 커피로 만드는 장점으로 작용합니다.
케멕스(Chemex) 드리퍼 (1~2인용 케멕스) 추출하기
1. 필터 접어주기
케멕스 필터 입니다. 1~2인용 케멕스에 맞춰서 종이 필터 또한 1~2인용으로 구매를 해야 합니다.
필터가 독특하게 생겼는데요 반으로 접어주고 아래 튀어나와 있는 부분을 위로 접어서 꼬깔콘 형태로 만들어 주면 됩니다.
2. 필터 장착
그 상태에서 다시 반을 접어주면 필터가 완성됩니다. (위에 올려 접은 부분이 안으로 가게 반을 접어주시면 됩니다.)
그다음에 안쪽을 펼치면 위에 사진 형태처럼 원뿔 형태가 되는데 한쪽은 종이가 여러 겹이라 두껍고 한쪽은 얇은 형태로 펴지게 됩니다. 두꺼운 쪽의 가운데로 케멕스 드리퍼의 에어터널 부분 (튀어나와 있는 부분)이 위치하도록 필터를 장착해 주시면 됩니다.
3. 린싱
뜨거운 물로 종이 필터를 충분히 적셔줍니다. (종이맛을 빼주고 드리퍼를 따뜻하게 예열하여 추출되는 동안 온도가 식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케멕스 필터는 두껍기 때문에 종이 향이 강해 충분한 린싱이 필요합니다.
가운데 부분을 잡고 필터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 부어주어 린싱에 사용된 물을 제거해줍니다.
4. 원두 분쇄 및 뜸 들이기
20g의 원두를 사용하여 핸드드립 분쇄도로 분쇄를 해주고 필터 안쪽에 담아줍니다. 92도의 물을 사용하여 *뜸 들이기를 해줍니다.
(*뜸 들이기 : 뜨거운 물을 50~60g 정도 부어주고 30~40초 동안 기다리면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해, 안정적인 추출을 하기 위한 방법)
5. 추출하기
뜸 들이기에 사용되었던 물 50~60g 포함 300g이 되도록 물을 한 번에 부어주고 추출이 다 될 때까지 기다려 줍니다.
(전체 추출시간이 2분 40초를 넘지 않도록 해주는 게 좋습니다. 만약에 시간이 늘어진다면 분쇄도를 좀 더 굵게 분쇄하여 2분 40초 안에 추출될 수 있도록 조정해 주면 됩니다. 반대로 너무 빠른 추출이 일어날 시 분쇄도를 얇게 해 주어서 2분은 넘어가도록 만들어주면 좋은 수율의 커피를 추출할 확률이 높습니다.)
추출 시간과 수율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신 분들은 아래 포스팅을 읽어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Coffee Extraction (커피 추출) - 핸드 드립 추출 성분 이해하기
커피의 성분 커피의 성분은 매우 많지만 쉽게 신맛, 단맛, 쓴맛을 내는 3가지 성분으로 쉽게 나누어 알아보겠습니다. 핸드드립을 뜸 들이기 포함 1분 30초까지, 그 뒤로 1분씩 텀을 두어 3분 30초까
barista-all.tistory.com
Coffee Extraction (커피 추출) - 수율,TDS 에대한 이해
커피를 추출함에 있어 기준이 되는 것으로 수율과 TDS 가 있습니다. 쉽게 설명을 적어보겠습니다. 수율 (Yield) 수율이라는 것은 커피의 수용성 성분을 얼마나 추출하였느냐를 나타내는 백분율입
barista-all.tistory.com
6. 필터 제거 후 잔에 담아주기
추출이 완료되면 필터만 제거해 주고 몇 바퀴 흔들어준 뒤 잔에 담아주면 추출은 완료됩니다.
수율은 18.3% TDS는 1.22% 로 골든컵 기준의 커피가 추출이 되었습니다.
물론 그라인더의 성능과 원두, 물의 미네랄 차이로 모든 커피가 이러한 추출수율과 TDS로 추출되는 것은 아닙니다 참고용으로만 봐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추출 방법도 여러 방법이 있기 때문에 정답이 없고 하나의 방법으로만 봐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커피의 모든것 > Hand Drip 핸드드립' 카테고리의 다른 글
Hand Drip - 모카포트 (Moka Pot) (1) | 2023.11.03 |
---|---|
Hand Drip - V60 1회 추출 드리퍼 Mugen (하리오 무겐 드리퍼) (1) | 2023.08.25 |
Hand Drip - Aeropress (에어로프레스) (0) | 2023.07.19 |
Hand Drip - Frenchpress (프렌치프레스) (0) | 2023.07.15 |
Hand Drip - Hario V60 (하리오V60) (0) | 2023.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