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의 모든것104 디카페인가공 - 슈가케인 프로세스 천연 가공방법이라고? 서론디카페인 가공에 대해 여러 글들을 썼는데요 지난 글들을 보시면 다양한 디카페인 가공방법들이 나와있습니다. 요즘 국내에도 적잖게 슈가케인 디카페인 방식들이 보이고 있습니다. 천연 디카페인 가공으로 마케팅 되어지고 있는데요 여기서 슈가케인은 사탕수수를 말합니다. 사탕수수를 이용해 디카페인을 만들고 있는데 과연 천연가공 방법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사탕수수 디카페인 가공 (Sugarcane Decaf Process)보통 Sugar cane Process 또는 Natural Decaf Process라고 불리우는 사탕수수 디카페인 가공방식은 콜롬비아 국가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정확히 누가 개발했는지는 기록이 없어 알수 없지만 콜롬비아 국립커피연구센터의 연구원들로 인해 이 방식을 상업적으로 도입하였다는 기록.. 2024. 9. 15. 디카페인 가공 - 초임계 CO2 방식에대해 알아보자 서론디카페인 커피에대한 인기가 많아지면서 디카페인 가공방식에대해 물어보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특히 인터넷을통한 잘못된 카더라 통신으로인해 약품처리된 나쁜커피로 인식되는 경우도 있는데요 제 글을 보신 분들이시라면 구분이 되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초임계 방식과 이산화탄소 방식을 따로 구분하시는 분들도 계시는데 초임계 방식의 핵심이 이산화탄소입니다. 오늘은 바로 이 초임계 이산화탄소 디카페인 가공방식에대해 알아보겠습니다.초임계 CO2 개발독일의 화학자인 Kurt Zosel은 Max Plack 연구소 소속으로 1970년대 초임계 유체 추출을 이용한 디카페인 방법에대해 미국 특허를 받았습니다. Zosel은 1960년대 후반에 이 방법을 개발했고 다양한 물질 혼합물을 분리하는 새로운 방법을 연구하던 중 이를 발.. 2024. 9. 15. 핸드드립의 혁신 멜리타 (Melitta) 이야기 아말리 아우구스테 멜리타 벤츠 (Amalie Auguste Melitta Bentz) 주부에서 커피의 혁신가로 ..1873년 1월31일 독일 드레스덴에서 태어난 멜리타 벤츠는 커피 추출에 있어서 큰 혁명을 가져온 사람입니다. 기업가 가정에서 자란 그녀는 평범한 주부였습니다. 커피 애호가였던 그녀는 항상 커피를 내리는 일을 하곤 했는데요 기존 방식이었던 코퍼레이터 방식이나 터키식 커피 방식에서 커피 가루들이 떠다니는것에 불만을 가진 그녀는 혁신적인 해결책을 찾아냅니다. 커피 필터의 탄생 1908년 멜리타는 아들의 연습장을 찢어 구멍 난 구리 냄비에 넣었고 커피미세 입자를 걸러주는 최초의 커피 필터방식 사용하였습니다. 이 간단한 방법은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는데요 커피 가루들을 걸러주는것은 물론 커피의 맛도.. 2024. 9. 15. 디카페인가공 - 화학용매 방법 과연 안전한가? 서론카페인 부작용이 있으신 분들이나 임산부이신 분들은 대부분 디카페인 커피를 찾으시고 요즘 디카페인 커피들이 많이 유통되면서 디카페인커피에 대한 잘못된 지식과 카더라 통신들이 난무하여 디카페인 가공에 대해 정보를 전달해드리고 있습니다. 지난번에는 워터 디카페인 가공방식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이번에 알아볼 디카페인 커피는 화학용매를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워터디카페인 방식을 알고 싶으신 분들은 지난번 포스팅을 참조해 주세요 디카페인 공정 - 스위스 워터 프로세스서론디카페인 커피에 대한 오해가 많은 것 같습니다. 일단 약품처리를 하는 방식이라 건강에 좋지 않다는 말과 기름성분이 많아서 살이 찐다더라 던가 이러한 카더라 통신을 통한 희한한 얘기barista-all.tistory.com 디카페인에 사용되는 용매.. 2024. 9. 11.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6 다음